Program (3) 썸네일형 리스트형 [Program] 함수형 프로그래밍 1. 함수형 프로그래밍 1) 함수형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 이란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우리가 익숙하게 사용해왔던 방법들은 명령형 프로그래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병렬처리나 비동기 처리를 할 때는 명령형 프로그래밍보다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적합합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외부 효과 (side effect) 가 없는 함수만의 조합을 이용해 프로그래밍을 하는 방법입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외부 세계의 값을 읽어오지 않고, 영향을 미치지도 않는 함수만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입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변수와 for의 사용을 가급적이면 줄이는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합니다. for문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재귀를 사용합니다. [1] (182) 2) 일급 .. [Program] 오픈 소스 라이선스 오픈 소스라고 해서 모든 패키지를 아무런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라이선스별로 제한 사항이 있으므로 설치 전에 반드시 라이선스를 확인해야 합니다. ISC, MIT 나 BSD 라이선스를 가진 패키지를 사용할 때는 사용한 패키지와 라이선스만 밝혀주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Apache 라이선스 패키지는 사용은 자유롭지만 특허권에 대한 제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GPL 라이선스 패키지를 사용할 때는 조심해야 합니다. GPL 계열의 패키지를 사용한 패키지를 배포할 때는 자신의 패키지도 GPL 로 배포하고 소스 코드도 공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라이선스별로 특징이 다르므로 오픈 소스를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라이선스를 확인하고 세부 내용을 읽어보기 바랍니다. 나중에 상용 프로그램을 개발했을.. [Program] 변수 표기법 1. 변수 표기법 [1] (76) 1) 캐멀 표기법 (로어 캐멀 표기법) 두 번째 이후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고 나머지는 소문자로 표기합니다. 캐멀 표기법은 대문자 부분이 낙타의 혹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Ex) newName, createLifeGame 2) 파크칼 표기법 (어퍼 캐멀 표기법)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고 나머지는 소문자로 표기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스칼에서 사용된 표기법이라서 파스칼 표기법이라고 부릅니다. Ex) CreateLifeGame 3) 밑줄 표기법 (스네이크 표기법) 모든 단어를 소문자로 표기하고 단어와 단어를 밑줄로 구분합니다. Ex) new_name, create_life_game Reference [1] 모던 자바스크립트 입문, .. 이전 1 다음